23andMe가 결국 파산하였습니다. 개인 유전 정보 분석 서비스의 시초이자, 대표적인 회사이며, 그 이름 자체로 상징성을 가진 23andMe는 지난 2025년 3월 23일 자산 매각을 시작하기 위해서 Chapter 11 파산 보호를 신청했습니다. 이 회사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앤 워짓스키(Anne Wojcicki)는 CEO직에서 사임하고, 23andMe의 자산을 매수하기 위한 독립 입찰자가 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 이 회사는 그야말로 ‘DTC 개인 유전
23andMe가 결국 파산하였습니다. 개인 유전 정보 분석 서비스의 시초이자, 대표적인 회사이며, 그 이름 자체로 상징성을 가진 23andMe는 지난 2025년 3월 23일 자산 매각을 시작하기 위해서 Chapter 11 파산 보호를 신청했습니다. 이 회사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[...]
인공지능으로 의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인지는 흥미롭고도, 중요하고, 또 예민한 문제입니다. 더 나아가면, 의학적으로 이것이 (적어도 특정 상황, 특정 환경에서라도) 가능하다고 증명하기가 아주 어려운 문제이기도 합니다. 의료 인공지능 분야 초창기에는 이런 질문이 많이 나왔었지만, 일종의 [...]
한국 식약처 1호로 인허가 받은 디지털 치료기기(디지털 치료제)인 에임메드의 불면증 치료용 소프트웨어 의료기기, “솜즈(Somzz)”의 효과를 검증하는 임상 시험에 대한 논문이 최근 JMIR에 출판되었습니다. 국내에서도 DTx가 몇년 전부터 큰 주목을 받으면서 우후죽순으로 여러 디지털 치료제 관련 [...]
2020년 11월에 열린 대한병리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제가 키노트 연사로 발표한 자료입니다. 병리학 인공지능 부분만 발췌해서 공유해드립니다. 제가 병리학을 그리 잘 알지 못해서, 이번 기회에 최근 연구 결과들을 나름대로 공부해서 발표했는데, 스스로 부족함도 많이 느꼈습니다. 초청해주셔서 다시 [...]
최근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하면서, 이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기 시작했습니다. 특히 미국의 FDA와 한국의 식약처를 비롯한 각국의 규제기관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데요. 여러 포스팅에서 언급해드린대로, 기존의 의료기기 인허가 프레임워크가 생성형 인공지능에 [...]
*제가 최근 머니투데이에 기고한 칼럼의 원문입니다. 분량 제한 없이 쓴 원문을 올려드립니다. 복지부와 식약처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최근 몇년 동안 선제적인 규제 개선을 통해서 생태계 전반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.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의 폭발적인 발전이 [...]
안녕하세요! DHP 최윤섭 대표입니다. 제 블로그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께 항상 감사드립니다. 다름이 아니라, 저희 DHP에서 국내 유일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전문 교육 과정, ‘DHP 디지털 헬스케어 아카데미 2024 (7기)’의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. 슈퍼얼리버드 기간을 3월 [...]
최근 코스닥 시장에 IPO에 성공한 쓰리빌리언의 금창원 대표님 인터뷰입니다! 쓰리빌리언은 인공지능으로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희귀질환을 진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쓰리빌리언은 최근 매출이 해마다 2-3배씩 증가하면서, 상장 이후에도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. 상장 이후에 글로벌 [...]
인공지능으로 의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인지는 흥미롭고도, 중요하고, 또 예민한 문제입니다. 더 나아가면, 의학적으로 이것이 (적어도 특정 상황, 특정 환경에서라도) 가능하다고 증명하기가 아주 어려운 문제이기도 합니다. 의료 인공지능 분야 초창기에는 이런 질문이 많이 나왔었지만, 일종의 [...]